차미경
유정복 인천시장이 3일 시청 접견실에서 열린 '결식아동 급식카드 배달사업 업무협약식'에서 관계기관과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정상혁 신한은행장, 유정복 인천시장, 황영기 초록우산어린이재단 회장) (사진=인천시)
인천시가 결식 우려 아동들에게 편리하고 따뜻한 식사를 제공하기 위한 획기적인 정책을 내놓았다. 급식카드를 들고 직접 식당을 찾아야 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이제는 아이들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음식을 배달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아이들의 식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와 민간이 손을 잡고 한 걸음 더 나아간 사례로 주목된다.
인천시는 3일 시청에서 신한은행, 초록우산어린이재단과 함께 ‘아이(i) 온밥’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사업은 인천형 저출생 대응 정책인 ‘아이(i) 플러스 길러드림’의 일환으로, 급식카드를 사용하는 결식아동에게 배달앱을 통해 월 최대 4회 무료로 식사를 배달해주는 서비스다. 특히 배달비를 포함해 모든 비용이 무료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지원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신한은행은 배달앱 ‘땡겨요’의 시스템 개발을 지원하고, 사업 운영을 위한 기부금 3억 원도 전달했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은 해당 기부금을 활용해 배달비를 지원하며, 인천시는 전반적인 사업 기획과 운영을 총괄한다. 민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며 결식아동 지원에 나선 것은 전국 최초 사례다.
기존 급식카드 제도는 가맹 식당이 부족하거나, 친구들과 함께 식사하기 어려운 환경 등으로 실효성에 대한 지적이 이어져 왔다.
지난해 인천시가 실시한 급식사업 만족도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85%가 ‘배달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답하며 개선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인천시는 보건복지부, 민간기관과의 지속적인 논의 끝에 이번 배달 급식 서비스 도입을 확정지었다.
특히 이번 사업은 14세 이상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이 눈치 보지 않고 원하는 음식을 골라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자율성과 선택권이 보장된다. 시는 시범 운영을 거쳐 효과를 분석하고, 향후에는 서비스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유정복 시장은 “이제는 아이들이 누군가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집에서도 따뜻한 식사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아이들이 존중받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고민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아동 급식체계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 단순한 식사 제공을 넘어 아이들의 자존감과 권리를 지켜주는 정책이 시작된 셈이다. 행정과 민간이 함께 만든 따뜻한 밥상이, 오늘도 누군가의 허기진 마음까지 채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