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미경
안전교육 부스 현장 모습 (사진=인천시)예고 없는 재난 앞에서 중요한 것은 빠른 판단과 올바른 대처다. 하지만 실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움직이기 위해선 반복적인 훈련과 체험이 필요하다.
인천시가 일상 속 재난 대응 역량을 키우기 위한 ‘찾아가는 재난안전 체험부스’를 운영하며 시민 체감형 안전 교육에 나선다.
인천시는 2025년까지 시민들의 재난 대응 능력을 실질적으로 높이기 위한 체험형 안전 교육 프로그램인 ‘찾아가는 재난안전 체험부스’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올해는 4월부터 9월까지 총 4개 대형 행사장에서 부스를 운영하며, 각종 재난 상황을 실제처럼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인다.
첫 행사는 4월 5일부터 6일까지 인천대공원에서 열리는 ‘제10회 재난안전전시회’다. 이곳에선 화재 대피 요령, 지진 발생 시 대처법, 심폐소생술(CPR) 체험 등 시민들이 실제 상황을 가정하고 직접 몸으로 익힐 수 있는 프로그램이 준비된다.
두 번째로는 4월 19일 서구 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열리는 ‘2025 한마음 치매극복 걷기행사’에서 안전 체험이 이어지며, 여름철엔 7월 26일부터 27일까지 계양아라온 황어광장에서 개최되는 ‘제3회 계양아라온 워터축제’에서도 부스를 만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9월 20일 남동체육관에서 열리는 ‘인천 청소년문화 대축제’에서 체험 행사가 마무리된다.
행사에 설치되는 체험부스에서는 연기 가득한 대피 구조물에서 화재 탈출을 해보거나, 더미 인형을 활용한 CPR 실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민을 기다린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재미와 학습을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해, 자연스럽게 안전 의식을 기를 수 있도록 했다.
“지진이 나면 어디로 피해야 할지 몰랐는데, 여기서 해보니까 조금 알겠어요.” 인천대공원 행사장을 찾은 초등학생 김민지(10세) 양은 처음 해보는 지진 대응 체험에 신기함과 동시에 자신감을 얻었다고 말했다.
윤백진 시 시민안전본부장은 “재난은 누구에게나 예고 없이 찾아오기 때문에 평소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체험부스는 책이나 영상으로만 배우는 안전 교육의 한계를 넘어 시민이 직접 몸으로 익히고 기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아이들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중요한 만큼, 미래 세대가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가는 기반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시는 앞으로도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안전 문화를 체득할 수 있도록 체험 중심의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행사 홍보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