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미경
인천시 인권위원회는 26일 제2차 인권정책 기본계획과 2025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사진=인천시)
인권이 추상적 개념에 머무르지 않고 시민 일상 속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인천시가 향후 5년간의 인권정책 로드맵을 새롭게 그렸다.
인천시 인권위원회는 26일 인천시의회 의원총회의실에서 제27차 인권위원회 회의를 열고, ‘인천광역시 제2차(2025년∼2029년) 인권정책 기본계획’과 ‘2025년 인권정책 시행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이번 계획은 ‘참여와 소통으로 모두가 누리는 인권도시 인천’을 비전으로, 시민들의 인권을 실질적으로 강화하고 사회적 약자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방향성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인천시는 ▲시민참여형 인권정책 강화 ▲인권행정 및 제도 강화 ▲사회적 약자의 인권보장 강화 ▲인권친화적 환경 조성 등 4대 전략목표를 중심으로 13개 정책과제와 73개 세부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이주여성, 발달장애인, 학교 밖 청소년, 시니어 세대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맞춤형 지원과 시민 누구나 체감할 수 있는 문화·노동·환경 분야의 인권정책이 눈에 띈다.
인권 서포터스 운영, 찾아가는 노동인권 교육, 저소득층 가정의 친환경 보일러 설치 지원, 인천뮤지엄파크 등 문화시설 확충 등도 포함됐다.
양순호 시 시민소통담당관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인권 정책이 되도록 협의체를 구성해 이행 과정을 철저히 점검하겠다”며 “시민 의견을 반영하고 지속가능한 인권도시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시는 아울러 기존 ‘시민인권상담실’을 ‘시민인권상담센터’로 개편해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